전체 글5 인간 마이크로바이옴에 대한 현재 이해도 Paper Current understanding of the human microbiome (2018) Jack A Gilbert, Martin J Blaser , J Gregory Caporaso, Janet K Jansson, Susan V Lynch & Rob Knight 소개 점막과 피부 환경을 포함해서 인간에 서식하고 있는 미생물 세포들은 최소 우리의 체세포만큼 풍부하며 우리의 인간 유전체보다 훨씬 더 많은 유전자를 포함하고 있다. 각 박테리아 strain은 수천개의 유전자를 포함하고 인간 유전자보다 더욱 큰 유전적 다양성과 유연성을 보인다. 우리는 아직 시간에 따른 한 사람 내에서의 미생물 다양성 혹은 다른 사람간의 미생물 다양성이 웰니스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고, 건강의 유지 또는 질병 발생.. 2023. 6. 16. 플러스 고급영양학 chapter 2. 건강한 식생활 1. 영양상태 영양상태의 판정 식사섭취조사; 섭취한 식품의 종류와 양을 조사하여 영양소 섭취량을 평가하거나 자주 섭취하는 식품의 빈도를 평가하는 방법. 24시간 회상법, 식품섭취빈도조사봅, 식사기록법 존재. 섭취량 계산 프로그램으로는 한국영양학회의 Can-Pro, 식품의약안전처에서 제공하는 식품안전섭취가이드 등이 있다. 신체계측조사; 신체의 크기와 조성, 즉 신장, 체중, 허리둘레, 피부두겹두께, 체지방률 등을 측정하여 표준치와 비교하는 방법 생화학적검사; 혈액이나 소변으로 영양소의 농도 또는 영양상태를 판정할 수 있는 지표를 측정하는 방법 임상조사; 신체의 여러 가지 징후와 증상을 조사하여 특정 영양소의 결핍이나 과잉을 판정하는 기법 2. 영양소 섭취기준 영양소 남자 여자 평균필요량 권장섭취량 충분섭취.. 2023. 6. 16. 플러스 고급영양학 chapter 1. 영양학의 개요 1. 영양학의 정의 및 발전사 영양학 식품에 들어 있는 영양소와 비영양성분들이 생명체 내에서 어떻게 대사되고, 어떤 작용을 하는지를 연구하는 학문 영양학의 발전사 현대 영양학은 18세기 후반 라부아지에가 호흡과정에서 산소가 필요하고 열이 발생된다는 에너지 대사의 본질을 규명하면서 시작 영양소의 발견 탄수화물 ; 1792년 로위츠는 꿀로부터 당을 분리 ➡ 1802년 프러스트는 포도에서 설탕과는 다른 당을 분리 ➡ 1812년 키르초프는 전분을 묽은 산과 함게 끓이면 포도에 있는 당과 같은 당으로 전환된다는 것을 밝힘 ➡ 1838년 더마스는 당을 glucose로 명명 ➡ 1844년 슈미트는 탄수화물이 C,H,O로 이루어진 화합물이며, 탄수화물이라 명명 1856년 버나드는 간에서 탄수화물의 저장형태인 글리코겐을.. 2023. 6. 16. 건강 그리고 질환에서의 인간 장 내 미생물 Paper Human gut microbiota/microbiome in health and diseases : a reveiw (2020) Eman Zakaria Gomaa 소개 gut microbiome은 매우 다양한 미생물로 구성되어 있다. 장 미생물은 거의 1500종 이상으로 구성되어있고 50개 이상의 다른 문이 분포해 있다. Bacteroidetes, Firmicutes에 이어 Proteobacteria, Fusobacteria, Tenericutes, Actinobacteria, Verrucomicrobia 순으로 문에서 가장 dominant하며 이는 전체 인간의 마이크로바이옴 수중 90%를 차지하는 격이다. 장내미생물 구성과 기능을 바꾸는 요인중에는 숙주의 유전자, 식이요법, 나이, 출생법 .. 2023. 6. 16. 이전 1 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