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Academia3

플러스 고급영양학 chapter 2. 건강한 식생활 1. 영양상태 영양상태의 판정 식사섭취조사; 섭취한 식품의 종류와 양을 조사하여 영양소 섭취량을 평가하거나 자주 섭취하는 식품의 빈도를 평가하는 방법. 24시간 회상법, 식품섭취빈도조사봅, 식사기록법 존재. 섭취량 계산 프로그램으로는 한국영양학회의 Can-Pro, 식품의약안전처에서 제공하는 식품안전섭취가이드 등이 있다. 신체계측조사; 신체의 크기와 조성, 즉 신장, 체중, 허리둘레, 피부두겹두께, 체지방률 등을 측정하여 표준치와 비교하는 방법 생화학적검사; 혈액이나 소변으로 영양소의 농도 또는 영양상태를 판정할 수 있는 지표를 측정하는 방법 임상조사; 신체의 여러 가지 징후와 증상을 조사하여 특정 영양소의 결핍이나 과잉을 판정하는 기법 2. 영양소 섭취기준 영양소 남자 여자 평균필요량 권장섭취량 충분섭취.. 2023. 6. 16.
플러스 고급영양학 chapter 1. 영양학의 개요 1. 영양학의 정의 및 발전사 영양학 식품에 들어 있는 영양소와 비영양성분들이 생명체 내에서 어떻게 대사되고, 어떤 작용을 하는지를 연구하는 학문 영양학의 발전사 현대 영양학은 18세기 후반 라부아지에가 호흡과정에서 산소가 필요하고 열이 발생된다는 에너지 대사의 본질을 규명하면서 시작 영양소의 발견 탄수화물 ; 1792년 로위츠는 꿀로부터 당을 분리 ➡ 1802년 프러스트는 포도에서 설탕과는 다른 당을 분리 ➡ 1812년 키르초프는 전분을 묽은 산과 함게 끓이면 포도에 있는 당과 같은 당으로 전환된다는 것을 밝힘 ➡ 1838년 더마스는 당을 glucose로 명명 ➡ 1844년 슈미트는 탄수화물이 C,H,O로 이루어진 화합물이며, 탄수화물이라 명명 1856년 버나드는 간에서 탄수화물의 저장형태인 글리코겐을.. 2023. 6. 16.
GWAS란 무엇인가? GWAS 아이디어, SNP 및 Linkage Disequilibrium 정의 GWAS(Genome-Wide Association Studies) GWAS라는 것은 genetic variant(유전적 변이)와 관심이 있는 trait(질병)사이의 관계가 존재하는데, 어떤 유전자에 존재하는지 찾는 실험기법, 즉 디자인을 말한다. GWAS에서 원하는 것은 관심 있는 연구집단에서 trait(질병), 즉 phenotype의 차이를 설명해주는 genetic variant가 무엇인지를 찾는 것이다. Study Designs GWAS에서 어떤 스터디 디자인을 사용할 것인가 고려를 할 때 과거에는 family data썼지만, 최근에는 case-control, cohort기반으로 사용한다. DNA Variation GWAS를 수행하기로 결정했다면, 유전체 마커를 어떻게 써야할지 생각해야 한다. 왜냐.. 2023. 6. 16.
반응형